소개해 주오

반응형

왼쪽은 오징어의 눈 구조고, 오른쪽은 인간의 눈 구조임.

오징어는 빛을 감지하는 기관이 외부에 드러나있지만, 인간은 망막쪽 그러니까 정반대를 향하고 있음.

극장의 스크린을 망막이라고 가정하면 스크린 위에다 시신경세포를 깔아논게 인간의 눈 구조, 반면에 오징어는 스크린 뒤에 시신경이 배치된 구조 입니다.

 

그래서 빛 감지 기관이 뇌한테 준 정보를 그대로 받아들이면 이렇게 혈관까지 같이 보임.

뇌는 기본적으로 감각기관이 준 정보를 그대로 믿지않음. 그래서 착시 현상이 있는 것.

그래서 뇌는 정지해있는 안구 내부의 혈관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인식하고 움직이는 것만 존재한다고 인식하도록 진화함.

그럼 또 문제가 생김. 정지해있는 바위는 존재하지 않는가?

그래서 눈 전체를 쉴새없이 떨게 하면서 외부의 정보인지 내부의 정보인지 판단함. 눈 전체를 떨게 하면 혈관도 같이 떨릴테니 혈관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인식하는 것.

 

뇌는 이 '동작 보정 기능'에 뇌 기능의 20~25%를 소모하고 있다고 하며 태생적으로 잘못 설계된 눈 때문에 엄청난 뇌 기능을 낭비하고 있다고 하는데... 저 퍼센테이지가 어디서 측정된지는 모르겠습니다

-.-;; 그저 아 그런가 하고 넘어가는 퍼센테이지...

 

오징어의 눈 구조가 좀 더 완성된 눈 구조라고 하네요 

하지만 원래 진화란게 기존에 갖고 있는걸 가지고 시작 되기 때문에 사람의 눈이 이렇게 되버린거죠.

그렇다고 해서 오징어의 눈이 인간의 눈보다 더 좋다는 말은 아닌게 오징어의 눈은 색체와 입체를 구분할 수 없고, 초점이 정확하지 않다고 하네요.

참고로 생명의 진화를 설명하는데 가장 많이 인용하는 사례 중 하나라고 하네요.

 

 

 

 

반응형

이 글을 공유합시다

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
-->